-
중도상환 수수료 계산 방법 알아보자카테고리 없음 2023. 8. 12. 12:00
안녕하세요. 금융에 관심이 있는 블로거입니다. 이번에는 대출을 이용하다가 중도로 상환하게 될 경우 발생하는 중도상환 수수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중도상환 수수료란?
대부분의 금융기관 대출 약정은 최소 1년에서 5년 사이의 상환기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도로 상환하면 수수료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를 중도상환 수수료라고 합니다. 대출기간 중 초기 직원 상담, 업무처리, 전산처리 관리 등의 비용이 이미 들어간 상태에서 이자 수입이 줄어들어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받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중도상환수수료가 2%가 있으면 (상환금액에 x 중도상환수수료)/약정기간 x 잔존기간
중도상환 수수료 계산 방법
중도상환수수료는 상환금액 x 중도상환수수료의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슬라이드 방식으로 계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출상품에 따라 중도상환수수료가 없는 경우도 있으며, 대출상품의 약정기간이 이미 3년 이상 지난 경우 중도상환시 면제됩니다.
중도상환 수수료가 없는 대출상품
일부 정부지원자금이나 카드론 대출 등 일부 금융상품에서는 중도상환수수료가 없습니다. 또한, 대출은 가능하면 빨리 상환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대출계약 철회권을 이용하여 초단기간(14일 이내) 이용 후 해지하는 경우에는 중도상환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중도상환 수수료는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대출 상품에서 발생하는 중도상환 수수료를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