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증여세 계산법 (면제한도 및 증여세율)카테고리 없음 2022. 7. 20. 20:52
증여세 계산법 (면제한도 및 증여세율)
반갑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증여세 계산법 및 면제한도 및 증여세율에 대한 정보으로 안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부분 궁금하시던 분들도 참 많을건데요. 특히 자녀에게 주시는 경우가 굉장히 많이있네요. 면제한도가 따로 지정된데요.
또한 비슷하게 재산을 수증자에게 증여를 할때 발생하는 세금이 있는데 상속세가 있답니다. 단 상속세의 경우엔 증여자가 사망으로 인해 재산이 수증자에게 오게 되었을 경우라면 부담하게 되는부분이신데요. 이 두가지를 적절히 활용하시고 절세를 해주실수 있답니다
상속세와 증여세 모두 면제한도, 공제금액이 있습니다. 여길 잘 활용하셔서 양쪽으로 잘 나누어서 부담을 하시는 것이 좋았어요. 차익이 크면 클수록 세율도 높아지게 되겠습니다. 자 그럼 이번의 내용 시작을 해보도록 하겠습지다.
아래 페이지로 바로갈수있는 링크를 달아드렸는데요. 링크를 클릭을 하셔서 위에보이시는 페이지로 바로 이동을 해 주세요. 이동을 하신후에 증여세 항목을 눌러주십시요.
그럼 이렇게 화면이 나와지실텐데요. 이부분에서 증여받는 사람과의 관계를 입력 해주시고, 증여초액을 입력해주세요. 그리고 10년내에 받은 재산등에 대한 정보들도 입력해주시게 되면 되는데 증여세의 면제한도는 10년간의 누적액이에요.
총 3억원의 재산을 증여받게 된다면 자녀 공제로 5000만원이 공제되어지거든요. 그 이상의 경우에는 과세가 되어지거든요. 과세표준금액은 2억5천이 남게 되는군요. 이 금액으로 세율을 책정하게되어지는것인데요. 결론적으로 세금은 3천 600만원이 나오게 되었네요.
면제한도를 즉시 살펴볼까요? 와이프의 경우엔 6억까지 가능하며, 자녀의 경우엔 성년의 경우 5천만원이 가능하고, 미성년의경우 2천만원이 가능한데요. 그리고 증여세율도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에는 증여세율표인데요. 아까 과세금액이 2억5천이었기에 위에 표대로라면 세율 20%가 적용이 되어지고 공제 1000만원이 되어 지기에 총 세금은 4000만원이 나왔던거에요. 거기에서 자진신고공제로 400만원이 차감되어 3600이 된거였죠.
미리 계산기 사용을 하시고 나서 한번 확인을 하세요. 간편하고 쉽게 해볼 수 있으실 거에요.